기업의 해외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무대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성공담이 심심치 않게 들린다. 이제 한국이 전 세계가 무대가 된 경제 대국으로 성장한 만큼, 우리 기업들 역시 그에 맞는 면모와 품위를 갖추고자 다양한 시도와 변화를 꾀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즉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이제 기업들이 예의주시하는 주요 경영활동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기업의 사회공헌은 단순히 사회 발전을 위한 목적을 넘어 사내 협동적인 조직문화 형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높은 홍보효과로 인해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도 한다. 실제로 다수의 브랜드간 기술 및 서비스 수준이 표준화되어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소비자들 역시 활발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하는 기업의 제품을 높이 평가하는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이른바 ‘착한 소비’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듯 사회공헌활동은 기업의 사업적 측면에 이득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공공의 이익을 증대시키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주기도 한다.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는 공헌활동 역시 과거 복지시설이나 비영리 기관을 대상으로 일회성 기부를 하거나 봉사활동을 시행했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그 분야와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임직원들의 전문 지식이나 경험을 살린 ‘프로 보노’ 활동으로도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 역량 나눔은 재능기부 직원의 소속감을 고취시킴과 동시에 현지 사회에는 착한 기업이라는 시그널을 줄 수 있기에 많은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다.
임직원들이 성금을 모으거나 수익의 일부를 기부했던 일방적 형태에서 소비자의 참여를 독려해 상품 구입 시 일정 금액을 적립하도록 하는 쌍방향 기부도 등장했다. 모 기업에서는 유명인사와 시민들이 어울려 참여하는 기금 모금 갈라쇼를 진행하여 호평을 받기도 했다.
이제 기업들도 단순 봉사활동과 기부를 넘어 저마다의 철학을 담은 사회공헌을 실천하고자 여러 방면으로 고민하고 있다. 지역개발 활성화와 동시에 비즈니스를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고자 폭 넓은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번 돈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차원이 아닌 기업이 보유한 자산과 역량을 활용해 공유가치를 새롭게 창출하는 것으로 그 영역이 확산되는 추세다. 이러한 CSR 활동은 기업의 현 사업 및 향후 전략에 밀접한 연관이 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한 일회성 행사에 불과하다는 일부 관계자의 우려를 종식시킬 수 있다. 다만 사회공헌을 빙자한 노골적인 기업 홍보 끼워 맞추기에 급급한 일회성 기부는 이제 소비자들도 그 진정성을 알아주지 않는다. 전문성을 살려 차별화된 모델을 구축하더라도 해당 지역의 환경과 여건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자사 이미지 제고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지역사회의 요구에 맞는 활동은 고객이 해당 업체 제품을 선호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있다.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시대가 변함에 따라 새로운 기술 다양한 의견들이 모여 계속 진화할 것이다.
지역 사회에 대한 기업의 도덕적 책임을 요하는 분위기 속에서 해외시장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에게도 사회책임경영은 더욱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코참 회원사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하지 않기 위해 매년 CSR 활동을 필수적 경영활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 지속성에 근거하여 사회공헌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2016년 3월 4일 뉴욕 중앙일보 경제 2면>
해당기사링크: https://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4069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