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AI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 인공지능 시대 일자리 미래와 인재양성 전략 KOCHAM March 19, 2024

산업연구원: AI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 인공지능 시대 일자리 미래와 인재양성 전략

요약:

국내기업의 인공지능 도입률은 4% 수준으로 여전히 낮고 경제성과는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으나, 본격적인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 필요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일자리는 327만 개(총일자리의 13.1%)로 제조업 내 주요 산업 및 전문가 직종에 일자리 소멸 위험이 클 것으로 전망, 일자리 소멸 대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
- 제조업(93만 개) 내에서도 산업 비중이 높은 전자부품(19만 개), 전기장비(11만 개), 기타기계ㆍ장비(10만 개), 화학물질ㆍ제품(9만 개), 자동차ㆍ트레일러(6만 개)에서 노동대체 효과가 크게 관찰
- 일자리 대체 가능성이 높은 위험군 중 59.9%인 196만 일자리는 전문직 

인공지능은 석ㆍ박사급 개발 인력 중심으로 이미 실질적인 노동수요 변화를 유발, 관련 기술인 소프트웨어/로봇이 학사/고졸 인력의 고용 변화를 초래하는 것과는 상이한 특성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하는 미국과 중국은 각각 민간과 국가 주도로 차별화된 인력양성 투자를 보이나, 국내는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민간 투자를 확대ㆍ유도하는 한국형 모델이 필요

인공지능이 가져올 산업별ㆍ직종별 노동수요 변화를 고려한 국내 인력양성 정책의 선제적 보완과 개선이 긴요, 인공지능 경쟁력 확보와 인력양성 목표 달성을 위해 다음의 개선안 제언
- ① 미래 지속/창출 일자리 전망과 해당 일자리에 요구되는 숙련 양성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일자리 소멸에 대한 대안 마련 및 인공지능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양성 촉진 필요
- ② SW(학사)/AI(석ㆍ박사)로 혼재ㆍ이원화된 인력육성 학제 운영을 정비, 일원화된 AI 중심 학사-석사-박사 체계 및 성과평가 정비로 인공지능 분야의 고숙련 전문인력 양성​​​​​
- ③ 해외인력 유치를 위한 비자발급 개선 및 AI 인력 취업연계 트랙 신설 등 정책지원 강화
- ④ 민간의 AI 투자 및 인력양성 참여 확대를 위한 정부 인센티브 지원으로 AI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민-관 협력 강화
Writ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