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최근 한국 경제의 최대 화두는 디지털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 정책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 역시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국제 비교와 국내 산업별 디지털 전환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IMD의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 CISCO의 ‘중소기업 디지털 성숙도’, 토터스 인텔리전스(Tortoise Intelligence)의 ‘글로벌 AI 지수’, 포툴란 인스티튜트(Potulans Institute)의 ‘네트워크 준비도 지수’를 통해 세계 속에서 한국의 디지털 전환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디지털 전환 수준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국내 산업별 디지털 전환 현황을 살펴보면 2017년 이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였으나, 2022년 기준 디지털 기술 활용 기업 비중은 약 15% 정도에 머물고 있다. 산업별로는 ICT 제조업과 생산자 서비스업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디지털 기술 활용 기업 비중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그 비중이 빠르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디지털 전환은 정부 주도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법·제도의 개선과 디지털 인재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전환은 산업이나 기업 규모에 따라 필요한 기술과 전환 속도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업의 디지털 전환 투자 장려를 위해서는 산업 및 기업 특성별 적합한 디지털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단계에 따른 적절한 재정 및 인력 지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 October 23, 2024